장타를 치는 이지영 선수의 스윙입니다.

하체보다 상체가 발달한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는 스윙일것 같고 플렛한 스윙을 하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암튼 멀리치는 선수는 그 이유가 있는것 같습니다...손목을 이용하여 마지막에 한번더 뿌려주는 것이 인상적이네요..

 

 

 

 

 전체화면 모드로 보시면 좋은 화질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골프 싱글 쉽게 되기
글쓴이 : 똥민하 원글보기
메모 :

 

 

 

슬라이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백스윙입니다... 스윙의 궤도를 교정하시려면 몸의 정확한 회전을 만들어주셔야하죠..

 

위의 사진을 보시게되면 왼쪽 어깨가 위로 상당히 들린 부분이 보여지시죠..? 이문제로인해 허리의 각도는 완전히

 

펴지게되며, 양팔은 몸안쪽으로 쳐지는 스윙의 궤도를 만들게됩니다..

 

이문제로 다운스윙또한 정확한 궤도로 내려오지 못하게되며, 어깨의 회전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됩니다.

 

한가지 연습드릴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어드레스 자세를 만드신후 클럽의 샤프트를 양손을 교차하여 잡으세요..

 

2...그런뒤 가슴 어깨부분에 샤프트를 대주세요..

 

3..이자세에서 백스윙을 만들어보세요..

 

이때 왼쪽 어깨쪽에 클럽의 샤프트끝이 바라보는 방향이 정면 카메라 쪽이 아닌 볼쪽...

 

지면을 가르킬수 있도록 만들어주시면 몸의 올바르 꼬임을 토대로 파워를 이끌어내실수 있는

 

올바른 백스윙을 토대로 좋은 다운스윙과 팔로스로우를 만드실수 있을겁니다...

 

 <자료출처: 골프존>

 

 

슬라이스의 문제점을

 

잡으시려고 그립을 닫아서 잡으셧죠.. 이부분은 아마추어 골퍼에게 흔히 찾아볼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립을 스퀘어로 잡으신 상태에서 스윙의 교정을 하셔야 후에 문제가 되지 않으실겁니다.

 

가장큰 문제점은 바로 하체입니다..

 

백스윙에서 하체의 동작을 보시게되면, 오른쪽 하체의 축이 무너지시는 문제점이 보여지게됩니다.

 

이문제로  위치가 살짝 옆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골반과 무릎의 올바른 회전의 꼬임이 만들어지지 않게되죠..

 

하체가 견고하게 위의 프로의 사진에서 처럼 받혀주셔야 몸의 정확한 회전과, 스윙을 할수 있게됩니다.

 

연습드릴을 한가지 소개해드릴께요...

 

샤프트의 그립쪽을 오른발로 밟아 주세요.. 오른발 바깥족으로요^^

 

그런후 백스윙을 만들어보시면 오른쪽 하체가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밀리는것을 방지해줄겁니다.^^;;

연습하셔서 그립을 정상적으로 잡아주시면서 이연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out to in 으로 스윙 하라!

 

일반 골퍼분들이 스윙을 할 때 정상궤로를 배워서 스윙을 하는 것 같지만

 

대부분 스윙영상을 찍어보면 정상적인 궤도보다 낮아지며 in to out 스윙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진1>

 

 

*레이트히트 [late hit] : 다운스윙(down swing)을 할 때, 클럽 헤드(head)의 리턴 동작을 늦추어 순발력을 증가시키는 타법을 말한다.

 

 

위의 사진 에서 백스윙궤도를 A,B,C로 나눈다면 A궤도가 정상 궤도이고 B IN , C OUT가 되겠습니다.

 

일반 골퍼들이 원하는 스윙은 물론 A궤도가 되겠고 그 스윙을

 

연습하는 일반 골퍼들은 대부분 B의 궤도로 스윙플래인이 처지게되는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실제로 비디오분석을 해보면 느낌과 실제스윙이 많이 틀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골퍼들에 핸디캡에 실력에 따라 다운스윙의 오류도 나눠지게 되는데요,

 

첫 번째 로우핸디캡을 가진 골퍼에 경우에는 헤드무게에 컨트롤이 어느정도 가능하며

 

클럽을 끌고와서 칠 수 있는 *레이드 히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B궤도로 처지는 백스윙을 하게되면

 

다운스윙시 지나치게 in궤도로 내려오는 경우가 많아 과도한 훅으로 고생하는 골퍼가 많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하이핸디캡을 가진 초보자일 경우에는 헤드에 컨트롤이 미숙하며

 

볼을 본능적인 근력의 힘으로만 볼을 타격하기 때문에

 

B궤도에 백스윙을 할 경우에는 좁아진 백스윙 궤도에서 다운스윙시 C궤도로 엎어치게 됩니다.

 

따라서 볼은 깎여 맞게되고 초보자에 고질병인 슬라이스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백스윙 시작부터 C궤도로 의식하고 백스윙을 하게되면 기존스윙에 동작이 몸에 베어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백스윙궤도를 유지하게되며 기존의 B궤도의 백스윙으로인해 좁아진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하게 되면서

 

정상적인 사람의 본능적 운동능력으로 인해 몸안쪽으로 레이드히트 칠 수 있는 능력이 보다 쉬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공간이 넓어진 C궤도에 백스윙은 실제로 A궤도로 다운스윙이 가능하며

 

B궤도 스윙은 정상적인 A궤도의 스윙을 만들기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골프입문 > 다운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언 샷, 볼을 먼저 맞혀라  (0) 2011.07.22
다운스윙 드릴  (0) 2010.06.18
다운스윙  (0) 2010.06.18
체중이동 방법   (0) 2010.06.18
다운스윙 교정 요령  (0) 2010.06.18

 

 

 

 

 

 

 

 

 

 

 

 

 

 

 

 

 

 

 

 

 

 

 

 

 

 

  

필자가 레슨을 할 때도 과장된 동작으로 트랜지션 동작으로 시켜보는데요.

 

대부분 쓰지 못했던 오른쪽 근육들은 마치 마모현상을 일으키듯 많이 굳어있는 상태였습니다.

 

그 상태로 매직스윙을 따라한다 해도 그리 멀지않아 원상태로 돌아오게 됩니다.

 

따라서 매직스윙의 트랜지션 드릴연습을 하실 때는 좀더 오버되는 동작으로 과감하게 근육을 늘려서

 

양쪽 근육 모두 활성화를 시키고 포워드동작에 회전력을 높혀 임팩트 이후에 스윙 스피드를 높인다는 느낌으로 연습하셔야 합니다.

 

위의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기존의 스윙으로는 ‘머리는 잡아놓고 타겟과 일직선이 되도록 릴리스 하라’

 

또는 ‘악수하듯 릴리스 해라!’ 라는 애기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물론 틀린말은 아닙니다. 다만 그방법으로 일축하기에는 너무 한쪽 근육만 익숙해지며 인투아웃의 스윙이 많아지고

 

큰 근육의 회전동작으로 인해 볼을 타격하는 것보다는 작은근육에 익숙해 진다는 것이지요!

 

 

 

 

 

 

 

 

 

 

 

 

 

 

 

 

 

  

따라서 사진에서처럼 매직트랜지션은 양손이 왼쪽허벅지 바깥쪽까지 스치듯 릴리스를 해야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몸의 오른쪽 근육이 몸안쪽으로 회전을 하며 몸통의 전체적인 부분이 하나로 움직이는 느낌이 나게 됩니다.

 

이런 동작이 익숙해지면 팔로우 동작에서 배가 하늘로 들리는 현상이 줄어들고 강한 회전으로 볼을 칠 수 있게 됩니다.

 

'골프입문 > 임팩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골프스윙 제대로 하는법  (0) 2010.09.06
폴로스루 _ 올바른 요령  (0) 2010.06.18
양팔은 다 뻗는것이 아니다  (0) 2010.06.18
임팩트 & 피니쉬  (0) 2010.04.21

기존의 스윙의 시작은 허리의 리드와 하체의 슬라이드 동작으로 인해 다운스윙에 시작점이 됐기 때문에 아웃궤도를 그리며

 

임팩트시에 척추의 회전각이 바뀌어 헤드면이 많이 열려있고 릴리스가 통과가 안될시에는 몸이 일어나는

 

위말해 바디업(헤드업) 현상과 초보자 경우에는 심한 슬라이스에서 벗어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구력이 어느정도 돼서 헤드무게를 느낄 수 있는 골퍼들에게는 더 치명적인 푸쉬훅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는 큰근육의 회전동작으로 인해 자연스러운 릴리스를 해야하는데 기존스윙으로는 오른쪽 큰근육의 회전이 멈추면서

 

임팩트 직전까지도 타면이 많이 열려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작은근육인 손목의 릴리스를 최대한 가져가지 못하게 되면

 

임팩트에서 클럽헤드를 직각으로 되돌려놓음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위의 사진에서 보는것과 같이 임팩트 후에는 양손은 몸이랑 멀어지게되고 마치 볼링에서 훅스핀을 거는것 처럼

 

볼타구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휘어버리는 악성훅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지요.

 

아마 골프존 회원님들도 슬라이스 고치는것 보다는 훅이 고치기 어렵다는 애기는 한번쯤 들어 보셨을꺼라 생각됩니다.

 

이런 이유는 골프는 큰근육이 작은 근육을 제어하며 스윙을 해야 하는데 작은근육이 큰근육을 제어할려니

 

당연히 볼의 변화가 많을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이해를 못하시는 회원님들을 위해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면 짧은 아이언을 가지고 그립 끝을 배꼽에 대시고

 

양손은 길이에 맞게끔 샤프트 중간부분을 잡습니다.

 

그 상태에서 좌향좌를 하시고 회전을 통해 우향우를 해보세요. 클럽헤드가 정확하게 열리고 닫히는 동작이 나오게 됩니다.

 

 

 

또한 몸의 중앙이 임팩트 위치라고 가정한다면 임팩트 이후에 밀고 나가는 동작이 길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골프스윙의 작은근육의 필요성도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큰근육을 이해하기 이전에 작은근육을 먼저 이해하게 되면 소위말해 요령부터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이부분에 대해서는 골프존 회원님들이 정확하게 이해하시고 넘어가야 할 부분입니다.

 

만약 이 동작을 따라하실 때 우향우 동작이 불편하시거나 배꼽에서 그립끝이 떨어지는 동작이 나오는 경우에는

 

작은근육의 손목동작이 스윙을 할때 큰근육을 제어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양쪽근육의 회전동작이 수월하지 못하고 임팩트시 몸의 회전으로 볼을 안고 친다는 느낌이 없으며

 

마치 슬어치는 느낌과 클럽헤드가 볼의 묻어나가는 손의 압력점의 느낌이 없는 것이지요.

 

따라서 이런 스윙에 오류를 가지고 계시는 골퍼들은 척추의 각도를 유지하며

 

정상적인 피봇동작으로 볼을 칠 수 있는 동작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연습방법중 하나가 골프백을 이용한 정상적인 피봇연습법인데요.

 

이 연습법은 백스윙에서 임팩트 이후까지 척추에 각을 내내 유지하게 만들며 임팩트 때 몸과 볼을 안고치는 느낌으로

 

기존의 임팩트에 압력을 느끼지 못했던 골퍼들에게 유용한 연습법이 될 것입니다.

 

또한 전시간에 설명드렸던 매직스윙의 다운스윙에 대한 이해가 빠르실거라 생각됩니다.

 

그림1에서 설명했다 싶이 이 드릴연습법의 키포인트는 골프백과 힙에 접촉이 임팩트 이후까지 유지되야 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골프백과 힙이 떨어지는 자세가 나온다면 수월한 회전이 막히면서 척추에 각이 무너진다는 것입니다.

'골프입문 > 다운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언 샷, 볼을 먼저 맞혀라  (0) 2011.07.22
Out to In으로 스윙하라!  (0) 2010.06.18
다운스윙  (0) 2010.06.18
체중이동 방법   (0) 2010.06.18
다운스윙 교정 요령  (0) 2010.06.18

 

 

 

 

 

 

 

 

 

 

 

 

 

 

 

 

 

 

 

 

 

 

 

 

 

 

 

 

 

 

 

 

 

 

 

 

 

 

 

 

 

 

기존의 무릎꿇은 드릴법은 클래식 스윙을 토대로 스윙 평면을 강조하며 인 투 아웃으로

 

스윙의 원을 그릴 수 있게끔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인이 이 드릴법을 따라하면서 생기는 많은 문제점은 대부분이 뒷땅을 친다는 것입니다.

 

이는 기존 백스윙시 몸통의 회전으로 인해 오른팔의 공간이 좁아지고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도

 

골반의 회전이 조금씩 있었습니다.

 

또한 백스윙시 양손의 위치가 오른쪽 어깨를 벗어나 있었습니다.

 

이 상태에서 어느정도 볼을 치지 못하는 일반 골퍼들은 다운스윙시 오른팔이 옆구리에 막히면서

 

등각도가 오른쪽으로 누워지며 뒷땅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지요!

 

 

 

하체를 잡는 동작도 무릎을 꿇게 되면 자연적으로 하체의 동작은 줄어들게 되지만 근본적으로는 치유법이 될 수가 없습니다.

 

기존스윙은 기본적으로 큰 회전스윙을 유발하고 스윙 자체가 골반회전도 자연스럽게 하기 때문에

 

타이밍적으로 임팩트까지 등각도를 유지하면서 되돌리려면 많은 어려움이 있겠죠?

 

그래서 기존스윙으로는 하체동작을 잡는 근본적인 드릴법은 되질 않는다는 필자의 생각입니다.

 

하지만 매직스윙 같은 경우에는 느낌상 어깨회전은 멈춰있다 생각하지만 어깨의 꼬임은 적당하게 이루어져 있고

 

백스윙에서 양손은 오른쪽 어깨라인 밖으로 벗어나 있지 않으며 가슴앞에 최대한 유지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오른팔이 내려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만들어지며 다운스윙시 오른팔이 막히지 않고 회전이 자연스럽기 때문에

 

등의 각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임팩트가 가능하게 됩니다.

 

전편에서 설명했다싶이 골반의 움직임이 최소화 되는 이유는 마치 장작패는 자세로 클럽을 수직으로 들어올리면

 

골반은 자연적으로 움직이지 않게되고, 목표방향 측면으로 서있는 어드레스에서 볼의 오른쪽 측면을 타격하기 때문에

 

오른팔의 공간이 충분해 지면서 어깨의 회전도 적당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연습장에서 무릅을 꿇고 볼을 치는게 어렵기 때문에 집에서 종이컵을 두 개를 준비하셔서 종이컵을

 

거꾸로 바닥에 두시고 나머지하나를 똑바로 그 위에 올려놓습니다.

 

그렇게 층을 쌓은 종이컵을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왼쪽허벅지 안쪽에 놓아주시고 짧은 아이언을 거꾸로 잡고

 

매직스윙 드릴로 종이컵 윗부분 날려보세요!

 

이 때 종이컵 밑에가 맞는다면 기존스윙으로 뒷땅이 맞는 겁니다,

 

정확하게 맞게 되면 밑에 있는 종이컵은 멀쩡히 있게되고 위쪽 종이컵만 날아가게 될 것입니다.

 

이런 동작들이 익숙해 진다면 근본적인 하체고정의 방법을 알게되며 스윙에 불필요한 동작들이 최소화가 되어

 

임팩트의 정확도가 높아질 것입니다.

'골프입문 > 백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스윙 잘하는방법  (0) 2013.01.18
최나연 백스윙의 비밀  (0) 2011.09.14
백스윙의 이해 <part 2. 측면 편>  (0) 2010.06.18
백스윙의 이해 <part 1. 정면 편>  (0) 2010.06.18
take away part 2. 측면  (0) 2010.06.18

기존 다운스윙은 백스윙 때 꼬였던 어깨와 몸통과 골반을 순차적으로 풀어주면서 진행되어 왔습니다.

 

, 백스윙 탑의 정점에 도달하면서 체중은 오른쪽 발로 실리게 되고, 다운스윙의 시작과 함께 체중이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꼬여 있던 상체가 하체와 허리의 리드에 따라 순차적으로 풀려나가는 방식으로 다운스윙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허리- 어깨 - 손 순으로 다운스윙)

 

 

 

 

 

 

 

 

 

 

 

 

 

 

 

 

 

 

 

 

 

 

 

 

 

 

 

 

 

 

 

 

 

 

 

 

 

 

 

 

 

이때 오른쪽 어깨와 팔꿈치는 아래쪽으로 떨어뜨리듯이 파고들면서 앞으로 나아가고,

 

동시에 오른쪽 팔꿈치는 몸통에 붙어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코킹이 최대한 유지되는 것이 스윙 완성도를 높이는

 

최대의 관건이 되었습니다.

 

이는 백스윙 때 손의 로테이션으로 인해 헤드페이스가 오픈이 되어 있게 되는데(즉 헤드 페이스가 정면을 향하는 모양),

 

이러한 상태를 임팩트 직전까지 최대한 그대로 가져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사진에서처럼 왼쪽 어깨가 닫히면서 왼쪽하체의 벽을 만들고 이 만들어진 벽을 기준으로

 

릴리스를 해주는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생기는 문제점은 왼손의 리드로 다운스윙을 하고 오른쪽 겨드랑이가 최대한 몸에 붙어 내려와야 하기 때문에

 

척추의 각도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스윙이 되는 경우가 있게 되는데,

 

이런 경우 오른팔이 옆구리에 붙어 내려오면서 정상적인 타이밍을 맞추게 되면 괜찮지만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처럼 오른쪽 팔꿈치가 옆구리에 막히게 되어 손목이 일찍 풀려 버리는

 

캐스팅 동작이 많이 나오게 됩니다.

 

 

 

그 결과 뒷 땅을 치거나 몸의 무게가 너무 오른쪽에 남아있게 되어 공을 치고 나가는 정상적인 임팩트가 나오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릴리스를 해야 하기 때문에 초보골퍼들에게는 클럽을 직각으로 되돌려 놓는

 

타이밍을 맞추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매직스윙에서의 다운스윙은 하체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꼬여진 상체를 단지 오른팔을 내려치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저는 레슨을 하면서 매직스윙을 처음 배우는 골퍼들에게는 사진에서처럼 다운스윙의 시작을 ‘클럽을 아예 덮어서 내려와라’는

 

식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즉 다운스윙의 시작은 오른손에 있다고 생각하면서 스윙을 하라는 주문을 하는 것입니다.

 

 

마치 팽팽하게 당겨진 활시위를 그냥 ‘퉁’하고 놓는 역할을 오른팔이 하는 셈입니다.

 

러나 이런 다운스윙의 시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전편에서 계속해서 강조해 왔듯이

 

오른팔 공간의 확보가 제일 중요합니다.

 

 

이것은 매직스윙에 있어서의 백스윙이 공을 보고 헤드면이 닫혀서 올라가는 것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백스윙에서의 코킹에 신경을 쓰지 않았던 것처럼 탑에서 내려칠 때도 역시 코킹에 신경쓰지 말고 그냥 ‘퉁’하고 땅을 찍고

 

왼쪽 허벅지 앞으로 오른팔이 가로질러 간다는 느낌으로 다운스윙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렇게 한다면 타이밍을 맞추어야 한다거나 몸의 풀림을 순차적으로 해야 한다거나 하는 등의 고민 없이

 

한결 편한 골프를 하실 수 있으실 것으로 확신합니다.

'골프입문 > 다운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Out to In으로 스윙하라!  (0) 2010.06.18
다운스윙 드릴  (0) 2010.06.18
체중이동 방법   (0) 2010.06.18
다운스윙 교정 요령  (0) 2010.06.18
헤드무게를 느끼는 방법  (0) 2010.06.18

 

 

 

 

 

 

 

 

 

 

 

 

 

 

 

 

 

 

 

 

 

 

 

 

 

 

 

 

 

 

 

 

 

 

 

 

 

 

 

 

 

 

 

  

런데 매직스윙은 테이크 어웨이 때부터 왼팔뚝의 바깥근육을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해서 코킹 동작이나

 

여타 인위적 동작의 개입을 최대한 억제하여 백스윙 탑까지 완성하는 간단한 스윙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도한 몸통 회전이나 골반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 결과 상체와 하체가 효율적으로 꼬임을 만들게 되고, 근육의 과도한 꼬임으로부터 발생하는 ‘보상동작’이 없어져서

 

정확한 임팩이 가능하게 도와줍니다.

 

 

구체적으로 <그림 1>에서 오른쪽을 보시면 백스윙의 몸통 회전크기보다는 오른팔이 만들어 내는 공간으로 인해 생기는

 

스윙의 폭을 강조하고 골반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실 겁니다.

 

뿐만 아니라, 오른쪽 무릎은 어드레스 때와 같이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백스윙의 크기는 보통 3/4 정도가 되는 데, 일반 골퍼에게 매우 적당하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사람마다 유연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그 크기는 다르지만 스윙의 넓이를 유지하기 때문에 양손의 위치는

 

가슴앞쪽에 위치한다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그런데 기존의 스윙이 몸에 익으신 골퍼들께는 이러한 백스윙이 만들지기 위해서 저의 표현대로라면

 

소위 ‘극약 처방’이 필요합니다.

 

몸통의 회전이 너무 과도하고 이로 인해 골반이 움직임이 너무 많아 스윙에 문제가 발생한 분들에게는

 

조금은 극단의 처방을 내려야 정상적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앞 시간에 말씀 드린 것을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내리는 처방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기존 스윙을 하던 골퍼들은 회전 동작 자체에는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어깨 회전을 안 하려고 해도

 

자연스럽게 어깨와 골반의 회전은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어드레스를 취하신 다음 어깨회전은 멈추고 클럽을 헤드 무게로만 가슴 앞쪽 수직(우측 1~2시 방향)으로

 

올려주시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마치 장작을 팰 때의 모습처럼 반스윙의 모양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 가슴과 양손 사이에 적당량의 공간이 생기고 골반의 움직임은 거의 없게 됩니다.

 

이런 느낌으로 스윙을 몇 번해보고 공을 쳐보시면, 처음에는 ‘정말 이렇게 해도 공이 맞을까’ 하는 의심은 결국

 

“어! 되네?‘하는 신기함으로 바뀌실 것입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그러했듯이 비디오 촬영을 해보면 우리가 사진에서 보아 왔던 그런 이상적인 백스윙에 가까운

 

스윙이 나오게 됨을 확인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주의하실 것은 백스윙의 모양을 만들려구 하지 말고 그냥 앞으로 들었다가 내리 친다는 느낌으로 볼을 타격 하셔야

 

 합니다이런 방법으로 볼을 몇 개 치다보면 자동적으로 클럽이 떨어지는 임팩트 감각을 익히게 되면서

 

오른팔을 펴서 스윙하고 오른팔을 왜 써야 하는지를 조금씩 알게 되실 겁니다.

 

만약 정확한 임팩트가 안 나오신다면 여전히 다운스윙 때도 오른팔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고 옆구리에 붙여 들어와서

 

스윙이 막힌다는 증거입니다. 다운스윙은 클럽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오른팔을 그냥 펴준다는 느낌으로 시작하시면 됩니다.

 

아마도 흔히 하는 드릴 중에 자신의 앞에 놓인 공을 오른손에 쥐어진 공으로 맞춘다는 느낌으로 하시면 됩니다.

'골프입문 > 백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나연 백스윙의 비밀  (0) 2011.09.14
하체고정 드릴   (0) 2010.06.18
백스윙의 이해 <part 1. 정면 편>  (0) 2010.06.18
take away part 2. 측면  (0) 2010.06.18
take-away part1.정면  (0) 2010.06.18

  

 

 

 

 

 

  

 

 

 

 

 

 

 

 

 

 

 

 

 

 

 

 

 

 

 

 

 

 

 

  

그런데 <사진 1>처럼 기존 스윙의 백스윙 탑 동작을 보면 몸통의 회전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몸을 최대한 꼬이게 하고

 

그 결과 왼쪽 무릎이 오른쪽으로 딸려가면서 동시에 골반의 움직임도 많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클럽 샤프트와 양손은 머리 뒤편에서 목표방향과 일직선으로 놓이게 되고 오른팔은 접시를 받치듯이 클럽을 받치게

 

되는데 이는 오른팔이 백스윙 탑에서 최대한 힘을 쓸 수 없게끔 봉인을 해 놓은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오른팔을 만들어 놓은 것은 어쩌면 기존 스윙이론에서는 당연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다운스윙 동작 때 허리, 어깨, 손의 순서로 스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일종의 보상동작을

 

미리 가능하게 만들어 주게 되기 때문입니다.

 

만일 기존스윙의 백스윙 탑에서의 동작이 오른팔이 주가 되면 스윙의 전체적인 연결동작이 이어질 수 없게 되게 됩니다.

 

이는 백스윙의 탑부분 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즉 백스윙 때 간혹 오른팔에 힘이 들어가 몸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면

 

<사진 2>처럼 오버스윙과 역피봇의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매직백스윙은 <그림 3>에서 보시다시피 오른쪽 무릎이 굽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오른쪽 골반과 어깨가 볼의 위치를 기준으로 측면의 움직임이 없이 회전하게 됩니다.

 

이때 왼쪽 무릎은 오른쪽으로 딸려가지 않고 견고하게 버텨줌으로써 양 무릎 사이의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됩니다.

 

 

 

 

 

 

 

 

 

 

 

 

 

 

 

 

 

 

 

 

 

 

 

 

 

 

 

 

 

 

  

기존의 스윙에서와 같이 몸의 동작을 많이 해서 몸통의 회전력을 확보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골반의 회전력은 최대한 억제를 하면서 동시에 몸의 상체는 적당히 꼬아 줌으로써 오히려 하체와 몸의 꼬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오른팔 공간의 확보를 통해 스윙의 너비를 크게 가져갑니다.

 

그래서 매직스윙의 백스윙은 기존의 백스윙보다는 매우 간결하고 작은 느낌을 주지만,

 

실제로는 오른팔 공간 확보로 인해 스윙의 폭이 넓어지고 포워드 쪽의 동작을 향상시켜서 비거리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고 동시에 백스윙에서의 불필요한 몸동작을 없애면서 공을 정확하게 가격할 수 있는 정확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여기에 바로 매직백스윙의 원리와 비결이 있는 것입니다.

 

 

다운스윙의 순간에도 최단경로로 다운스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며 동시에 릴리스도 기존의 백스윙 탑에서

 

순차적으로 해야 하는 걱정없이 상체의 꼬인 텐션에서 스프링이 튀어 나가듯이 오른팔이 공을 내리치는 동작으로

 

가능하게 됩니다이러한 백스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우선 클럽의 페이스가 볼 쪽을 계속 바라보고 있다는 느낌으로

 

오른팔의 공간이 최대한 넓어져야 합니다.

 

그래서 느낌상 오른손이 왼손위로 오게 되면 백스윙 탑에서는 엄지손가락 방향 즉 수직으로 자연스럽게 코킹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오른팔에 의해 넓어진 테이크 어웨이는 백스윙 탑으로 가면서몸의 회전(정확히 말하자면 우리 몸의 생김새상)

 

자연적으로 몸 안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정상적인 탑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기존 스윙에서는 백스윙 탑에서 클럽이 머리 뒤쪽에서 목표와 일직선이 되며 수평이었다면

 

매직스윙에서의 백스윙탑은 오른쪽 어깨높이 정도에서 이루어지게 됩니다(스리쿼터 정도).

 

 

물론 골퍼의 유연성에 따라 매직 백스윙의 탑 위치는 달리 나타날 수 있으며, 투어프로 선수들의 경우에는 골반 회전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몸의 꼬임을 최대화 시켜 파워를 축적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골프입문 > 백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체고정 드릴   (0) 2010.06.18
백스윙의 이해 <part 2. 측면 편>  (0) 2010.06.18
take away part 2. 측면  (0) 2010.06.18
take-away part1.정면  (0) 2010.06.18
어드레스시 무릎방향  (0) 2010.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