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 비하인드 더 볼을 실천하라

머리를 볼 뒤에 남겨두고 스윙 한다

‘헤드 비하인드 더 볼’이란 임팩트 때, 머리 위치가 볼보다도 오른쪽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운스윙에서 상체가 앞으로 나가면 이 자세를 할 수 없다. 헤드 비하인드 더 볼 자세가 되면 양팔이 펴진 곳에서 볼을 칠 수 있으므로 헤드스피드를 올릴 수 있어 비거리가 늘어난다. 이 자세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드레스에서 볼을 약간 비스듬히 뒤에서 보는 듯한 자세로 스윙 축을 유지하면서 피니시까지 휘두른다. 볼을 위에서 보는 자세를 하거나 다운스윙에서 상체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면 머리가 볼보다도 앞으로 나가 양팔이 펴지지 않은 채 임팩트를 하게 된다. 헤드스피드가 올라가지 않고 슬라이스나 훅, 조로, 하이볼 등의 미스를 유발한다.

톱에서 다운스윙까지는 머리 위치를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라. 성급하게 치면 머리가 왼쪽으로 움직이고 상체가 앞으로 나가는 자세가 된다. 그래서는 헤드 비하인드 더 볼 자세가 되지 않는다.

 

 

 

볼을 한 개 정도 왼발 쪽에 놓고 티 높이를 높게 한다

 

뒷바람일 때 유용한 티 높이를 충분히 높게 하는 것 보다 비거리를 늘리는 좋은 방법이다. 단지 일반적인 상황일 때보다도 볼을 한 개 정도 왼발 쪽에 놓아라.

볼을 왼발 쪽으로 이동해야 헤드가 더욱 가속하는 곳에서 볼을 때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만큼 볼을 강하게 히팅할 수있으므로 비거리는 늘어난다.

주의할 점은 티의 높이다. 보통 드라이버샷에서는 스윙의 최하점을 통과한 후 볼을 때린다. 그것을 좀 더 왼쪽에 두면 어퍼블로로 임팩트가 된다.

보통처럼 같은 티의 높이를 할 경우, 볼의 머리를 때리기 때문에 왼쪽에 놓은 만큼 티 높이를 높게 한다는 의미다. 그러면 볼을 정확히 히팅 할 수 있다.

다운스윙에서 상체가 앞으로 나가는 미스를 막기 위해서는 실제로 칠 볼의 앞에 다른 티를 꽂는다.

그것을 보면서 스윙하면 다운스윙이후 머리를 남겨두고 헤드에 속도가 붙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클럽헤드가 가속하는 과정에서 볼을 때릴 수 있으므로 비거리가 늘어난다.

 

 

 

-박금숙 프로

힘을 주지 않고 거리를 내는 프로 테크닉

 

클럽으로 볼을 치는 것이야말로 거리가 생긴다. 물론 당연하다. 그것을 의식하면 역시 힘이 들어간 상태에서 쳐선 안 된다. 상급자와 프로골퍼가 헤드스피드를 최대로 하는 순간은 임팩트가 아니다. 물론 다운스윙도 아니다.

폴로스루에서 최고의 헤드스피드를 기록한다. 그러므로 연습스윙을 할 때에 왼쪽의 폴로스루에서 휙 하는 소리가 들린다. 이에 비해 애버리지골퍼로 비거리를 내지 못하는 플레이어는 다운스윙에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임팩트에서 이미 헤드스피드가 떨어진다.

폴로스루에서 헤드스피드가 최대가 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임팩트할 때에 클럽헤드가 가속되므로 파워 손실 없이 에너지를 볼에 전달할 수 있다. 이는 비거리 증가와 연관이 있다.

오른쪽어깨 뼈 안쪽을 정확히 펴는 것을 의식해 큰 폴로스루를 해야 한다. 물론 그 후에 피니시까지 정확히 스윙하는 것도 중요하다.



CHECK
연습을 할 때는 목표로부터 오른쪽을 노리는 것이 좋다.

연습장에서 샷을 할 때부터 강하게 샷을 하면 자신도 모르게 힘이 들어가기 쉽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프로야구 시합을 하기 전에 연습하는 것을 봐도 강타자는 처음부터 풀스윙을 하지 않고 가볍게 방망이를 휘두른다.

골프에서도 연습장에서는 목표보다도 오른쪽을 보고 치면 성급하게 치는 것이 아니고 클럽각도를 생각하면서 클럽을 휘두르게 될 것이다. 그런 이미지를 가지지 않으면 코스에서는 쓸데없이 강하게 휘두르고 만다.

-김덕윤 프로

'골프입문 > 골프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 아이언 잘 다루기  (0) 2011.07.06
비거리 늘리는 방법  (0) 2011.07.06
[스크랩] 드라이버 스윙의 정석  (0) 2011.04.21
제이슨 강 캐스팅 방지  (0) 2011.04.05
드라이버 거리늘리기 그립  (0) 2011.03.10

 

“어드레스의 체크포인트”

 

1. 어드레스에서 양 발의 힘은 항상 균등하게 배분하라.

 

어드레스에서 힘의 배분은 어느 클럽이나 좌, 우 똑같이 싣는 것이 좋다.

많은 골퍼들이 드라이버는 어퍼블로 (Upper Blow) 로 치기 때문에 오른발에 힘을 많이 싣고,

아이언은 다운블로 (Down Blow)로 친다는 생각 왼발에 힘을 많이 싣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것은 옳지 않다.

왜냐하면 어퍼블로나 다운블로는 단지 결과일 뿐이지 의식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트러블샷이나 칩샷이 아닌 경우에는 어느 클럽이든 항상 똑같은 스윙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골프가

한층 쉬워진다. (사진 A1) 

 


 

 

 

 

 

 

 

 

 

 

 

 

 

 

 

2. 어드레스 때 턱은 어디를 향하고 있어야 하는가?

 

턱을 어드레스의 기본축이라 생각하고 항상 턱의 위치를 살펴 턱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하면

힘은 자연히 몸의 중앙에 오게 된다. 만약 턱이 왼발쪽으로 향할 경우에는 오른발 쪽에 많은 힘이 전달되어

슬라이스와 푸시아웃을 유발하게 되므로 턱은 가급적 똑바로 두는 것이 방향성에 도움이 된다. (사진 A1, B1)

 


 

 

 

 

 

 

 

 

 

 

 

 

 

 

3. 그립 끝 (buttend)의 위치는 항상 왼쪽 허벅지 안쪽에 둔다.

 

골프 스윙의 기본은 임팩트로 어드레스를 재현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어드레스에서부터 단추를 잘못 꿰게 되면 스윙에 치명상을 입히게 된다.

특히 임팩트때의 클럽 패이스 위치는 공의 방향을 좌우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어드레스 때

그립의 위치를 꼭 체크해야 한다.

샷의 기본은 몸의 정면에서 공을 치는데 있는데, 그립의 포지션이 왼쪽 허벅지안쪽이 아니고

더 왼쪽으로 위치하게 되면 공을 정확히 칠 수가 없기 때문에 결국 미는 듯한 푸시샷이 되어

비거리가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한다. (사진 A1)

 

4. 몸과 그립 끝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공과 몸과의 간격은 클럽이 짧아짐에 따라서 가까워 지지만, 그립 끝과 몸과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여야만 스윙을 일관성 있게 할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는 있지만 주먹 하나반~두개 정도가

몸과 그립 끝의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간격이 가장 이상적이다. (사진 A1, B5)

 

 

5. 상체의 힘을 쭉 빼고 클럽 헤드를 지면에서 조금 띄운다.

 

아마추어 골퍼들의 스윙을 보면 대체로 몸에 힘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힘을 주면 줄수록 몸의 회전은 둔해져 클럽헤드의 스피드는 떨어지게 됩니다.

공을 멀리 보내는데 필요한 것은 몸의 힘이 아닌 클럽 헤드의 스피드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클럽헤드의 스피드를 내려면 어드레스 때 상체, 특히 팔과 어깨의 힘을 빼고 최대한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스윙을 해야 한다. 어드레스 때 힘이 많이 들어가는 골퍼는 클럽헤드를 지면에서

약간 띄워 자세를 취하거나. 왜글 (Waggle : 클럽을 좌우로 약간 흔들어 줌)을 하는 것도 한 좋은 방법이다.

단지 주의할 점은 어드레스의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몸이 더 딱딱해지므로 주의한다.


                                                               출처 : 골프존닷컴     

'골프입문 > 어드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타 줄이는 방법  (0) 2013.01.19
슬라이스의 원인 어드레스부터 체크  (0) 2011.02.18
어드레스  (0) 2010.06.18
공의 위치보다 두손의 위치가 중요  (0) 2010.06.18

 

 

 

 

 

 

 

 

 

 

 

출처 : My Health Planner
글쓴이 : 갑빠 원글보기
메모 :

'골프입문 > 골프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거리 늘리는 방법  (0) 2011.07.06
힘을 주지 않고 거리를 내는 프로 테크닉  (0) 2011.07.06
제이슨 강 캐스팅 방지  (0) 2011.04.05
드라이버 거리늘리기 그립  (0) 2011.03.10
퍼팅 리듬  (0) 2011.03.10

손목 힘 빼고 오른팔-클럽 직각으로 유지

초보자들이나 거리가 짧은 골퍼들을 살펴보면 비슷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가장 큰 문제가 바로 잘못된 손목 동작이다. 거리가 짧은 골퍼들은 대부분 손에 힘을 너무 많이 준 까닭에 손목의 코킹(Cocking)이 일찍 풀리고 만다. 이처럼 그립을 너무 꽉 쥐거나 팔에 힘이 들어가 있어 클럽 헤드가 앞서가는 현상을 캐스팅(Casting)이라고 한다.

캐스팅이 발생하면 손과 팔이 너무 일찍 펴지면서 스윙스피드는 줄어들고, 볼은 높이 뜨게 된다. 또 공의 방향성도 일정치 않게 된다.

캐스팅을 고치기 위해서는 손목에 힘이 들어가지 않아야 하며, 그립도 클럽 헤드의 무게를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느긋하게 쥐어야 한다.

유명한 프로들의 임팩트 사진을 보면 대부분이 왼팔과 클럽샤프트가 일직선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프로처럼 스윙할 수 있는 연습 방법을 알아보자.

캐스팅 습관을 없애려면 오른 손목과 오른팔꿈치의 각도를 임팩트하기 전까지 그대로 유지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클럽헤드가 손보다 먼저 나가면서 볼을 때리지 않도록 클럽을 최대한 늦추기 위한 연습인 셈이다.

우선 일반적인 스윙자세를 잡고 천천히 백스윙을 한다. 그리고 백스윙 톱에 이르면 몇 초 동안 멈춘다. 손목의 힘을 뺀 상태에서 천천히 엉덩이를 타깃방향으로 향하면서 다운 스윙을 시작한다.

이때 손목에 힘이 많이 들어가면 클럽의 무게를 느끼지 못해 클럽헤드의 위치를 모르게 된다. 오른팔꿈치를 오른쪽 엉덩이 쪽으로 내려주는 느낌으로 다운스윙을 해야 한다. 오른쪽 손목이 꺾여 있는 상태에서 코킹을 풀지 말고 오른 팔꿈치와 같이 떨어뜨리도록 한다. 클럽은 타깃 방향과 나란히 일직선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멈춰준다. 이 연습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오른팔과 클럽이 90도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임팩트까지 내려오지 말고 클럽이 지면과 수평일 때 멈춰야 한다.

이 훈련은 팔 힘이 약한 여성골퍼들과 주니어들에게 효과적이다. 손과 팔의 힘이 없는 사람은 클럽을 의식적으로 강하게 잡기 때문에 캐스팅 현상이 많이 생기는 까닭이다.

'골프입문 > 골프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드라이버 스윙의 정석  (0) 2011.04.21
제이슨 강 캐스팅 방지  (0) 2011.04.05
퍼팅 리듬  (0) 2011.03.10
드라이버 비거리 늘리기  (0) 2011.03.10
슬라이스 문제점 해결 2  (0) 2011.03.10

초보자들은 왜 가까운 거리에서 스리 퍼팅을 할까? 제이슨은일반적으로 스리 퍼팅은 짧은 퍼팅을 놓친 탓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거리 조절의 실패가 더 중요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제이슨은 미국의 쇼트게임 및 퍼팅 전문가 데이비드 펠츠의 실험 결과를 인용했다. 미국 PGA투어에서 선수들이 1m짜리 퍼팅을 홀에 넣을 확률은 85%. 2m에서의 확률은 53%로 떨어지며, 3m에서는 30%로 더 낮아지게 된다. 프로선수들에게도 1m짜리 퍼팅은 쉽지 않은 것이다.

 

스윙이 좋아져서 볼을 그린에 자주 올려놓게 되면 긴 퍼팅을 할 경우가 많이 생긴다. 긴 퍼팅을 잘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느 정도 거리를 맞출 수 있어야 한다. “퍼팅은 방향보다는 거리라는 것이 제이슨의 지론. 거리는 퍼팅의 템포, 리듬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제이슨은 사람마다 각자 다른 리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리듬은 성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성격이 급한 사람은 리듬이 빠르고, 느긋한 사람은 리듬도 느리게 나타난다. 자신의 리듬을 알아내는 방법은 눈을 감고 퍼터를 잡은 뒤 편안하게 30초 동안 시계추처럼 왕복한 횟수를 세어보면 된다. 나온 횟수에 2를 곱한 것이 개인 리듬이다. 개인 리듬은 1분에 70에서 85의 분포다. 자신의 리듬을 알았다면 전자 메트로놈 기구를 사용해 박자를 입력하고 퍼팅 스트로크 연습을 하면 좋다.

 

아마추어들의 퍼팅을 보면 백스윙은 짧게 한 뒤 볼을 맞출 때 속도를 내면서 거리를 맞추려고 한다. 이런 스트로크는 짧은 거리에서는 괜찮아도 롱 퍼팅 때는 일관성이 없어 홀을 지나치거나 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다. 또 볼이 통통 튀기며 시작해 방향이 흐트러질 수 있다.

프로들의 스윙을 보면 앞뒤로 백스윙과 팔로 스로가 똑같은 속도로 왔다갔다 한다
.
PGA
투어 선수 중 퍼팅의 귀재라고 불리는 벤 크랜쇼는 짧은 퍼팅이나 긴 퍼팅이나 백스윙 시작부터 볼에 맞을 때까지 거의 1.1초에 왕복한다
.

제이슨은 집에서 베개 두 개를 땅에 놓고 리듬 연습을 하라고 권했다. 베개는 10분 연습 후 더 넓게 벌여 똑같은 리듬에 맞추도록 한다. 짧은 거리를 1초에 왕복하면 속도가 느려지고, 백스윙이 길어질수록 퍼팅 속도는 자연스럽게 빨라진다. 제이슨은가급적 1초 박자를 의식하면서 백스윙 거리를 조절하면 더 정확한 거리를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골프입문 > 골프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이슨 강 캐스팅 방지  (0) 2011.04.05
드라이버 거리늘리기 그립  (0) 2011.03.10
드라이버 비거리 늘리기  (0) 2011.03.10
슬라이스 문제점 해결 2  (0) 2011.03.10
슬라이스 문제점 해결  (0) 2011.03.10

드라이버 비거리를 내기 위해서는

백스윙을 낮고 길게 빼야 한다.

'골프입문 > 골프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이버 거리늘리기 그립  (0) 2011.03.10
퍼팅 리듬  (0) 2011.03.10
슬라이스 문제점 해결 2  (0) 2011.03.10
슬라이스 문제점 해결  (0) 2011.03.10
어드레스의 체크포인트  (0) 2011.02.18

문제점

상체를 왼발의 위로 위치 시키는 준비 자세.
척추가 타깃 방향으로 기울어져 머리가 볼의 앞쪽에 놓이게 됨.
이런 셋업은 정반대의 체중이동을 불러와
스윙궤도가 타깃 라인의 바깥에서 안으로 흐르게 됨.
 
 
해결책

어드레스 때 상체를 오른발의 위로 위치시키고 척추를 약간 타깃의 반대편으로 기울인다.
그러면 머리가 볼의 뒤쪽으로 놓이게 되며, 오르어깨가 더 낮아지게 된다.
이런 셋업을 하면 스윙을 좀 더 인사이드-아웃으로 할 수 있으며
슬라이스 제거 뿐만 아니라 강력한 드로를 구사할 수 있다.

'골프입문 > 골프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팅 리듬  (0) 2011.03.10
드라이버 비거리 늘리기  (0) 2011.03.10
슬라이스 문제점 해결  (0) 2011.03.10
어드레스의 체크포인트  (0) 2011.02.18
매직 스윙을 익히면서 주의할 점 3가지  (0) 2010.11.29

 

 

 

안녕하세요 KPGA 조진민 프로입니다.

 

회원님의 우드샷 잘봣습니다.

 

얼핏보게되면, 전체적인 스윙은 상당히 좋다는 말을 자주 들으실거에요..

 

팔을 완전히 펴준 자세로 큰 스윙의 아크를 만드시는 부분은 상당히 좋은 장점입니다.

 

하지만, 현재 실속은 부족한 상태이구요..

 

그이유는. 팔로스로우를 보시게되면, 손목 로테이션이 전혀 없이 억지로 밀어치려고만 하게된 문제로부터

 

클럽헤드의 가속도는 전혀 만들어주시지 못하게되어 비거리에 상당히 큰손해를 보시게되며

 

이후 열린 클럽페이스의 각도로부터 슬라이스의 문제점 또한 만들게됩니다.

 

흔히 클럽을 던져줘라? .. 이런말을 렛슨 프로들에게 자주 들어보셧을겁니다.

 

과연 어떡해 해야 클럽을 던져줄수 있을까요?.. 해답은 손목 코킹입니다.

 

위에 프로의 자세처럼 손목 코킹을 이용하여 클럽헤드를 먼저 보내주셔야 지렛대의 원리를 사용하게되어 클럽헤드의

 

속도를 최대치로 만드실수 잇게됩니다.. 손목 코킹이 없이 스윙을 하게된다면 억지로 끌고가는 스윙을 만들게되어

 

헤드속도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되겟죠.

 

이문제점을 해결하실수 잇는 "T" 를 이용한 L to L Drill 을 소개해드릴게요.

 

 

 

 

 

1.7번아이언 그립끝에 T를 꽃아본다.

 

 

2.쓰리쿼터 스윙으로 백스윙의 중간지점까지 만들어준이후, 그립끝 T가 바라보는 방향이 지면을 바라보도록 만들어준다.

 

 

3.백스윙과 동일하게 팔로스로우 또한 같은 위치까지 만들어준이후 그립끝 T 가 바라보는 방향이 지면을

 

바라볼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이 Drill 은 손목의 올바른 코킹의 사용으로부터 지렛대의 원리를 사용하게되어 적은 힘으로 올바른 힘의 전달과

 

더불어 편안한 스윙을 만드는데 가장 필요한부분입니다.

 


추가적으로 릴리즈를 만들어주실수 있는 연습은 밑에 링크를 클릭하시면 동영상으로 된 렛슨을 보실수 있을겁니다.

 

혹시 안나오신다면, 골프존 렛슨 닉네임> 겔포스 검색하시면 동영상으로된 링크를 보실수 잇을겁니다.

 

 

동영상 레슨 확인하기 >>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