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시장 보니… 애플 생태계 웃다
* 5월 25일 발행된 오프라인 매거진 <인사이트세미콘> 6월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인사이트세미콘]
스마트폰 판매 확대에 힘입어 전후면 카메라 모듈 업계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이 시장에는 30개가 넘는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저마다 일정한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공급 생태계가 확연하게 나눠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공급 그룹은 전방 스마트폰 업체들의 실적에 따라 희비가 갈릴 수 밖에 없다.
삼성전자에 모듈을 공급했던 이들은 지난해 극심한 실적 악화를 겪었던 반면, 애플, 중국 스마트폰 생태계에 속한 업체들은 몰려드는 주문량을 맞추기 위해 상당한 규모의 증설 투자를 단행했다.
글 한주엽 기자 powerusr@insightsemicon.com
소형 카메라 모듈 업체의 실적을 좌우하는 대형 고객사는 삼성전자와 애플을 비롯 화웨이, 샤오미와 같은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다. 카메라 모듈 업계는 이들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특정 회사의 CMOS이미지센서(CIS) 및 렌즈 모듈을 조달해 조립 작업을 거쳐 고객사로 전달한다.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핵심 부품으로는 자동초점(AF)을 담당하는 보이스코일모터(VCM) 작동기(actuator, 액추에이터)가 있다. VCM 액추에이터는 카메라 모듈 내부에서 경통부를 움직여 AF 작업을 수행한다. 앞뒤(z축)로 움직여 AF를 잡으면서도 위아래(y축)와 좌우(x축)로도 움직일 수 있는 광학식손떨림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VCM 액추에이터의 출하량도 최근 의미 있는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다.
세계 스마트폰 양강 업체인 삼성전자와 애플이 주력 제품에 OIS 기능 적용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애플은 아이폰6,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4부터 OIS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OIS 기능이 적용되면 한 두 스탭의 셔터스피드 보정 효과가 있다. 따라서 광량이 부족한 실내에서도 선명한 사진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준다.
삼성-애플-중국 생태계, 엇갈린 희비
시장조사업체 <테크노시스템즈리서치(TSR)>에 따르면 지난해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소형 카메라 모듈 시장의 매출액 규모는 148억9845만달러였다. 이는 전년(133억6996만달러) 대비 11.4% 증가한 수치다. 올해는 지난해 대비 6.3% 증가한 158억4552만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이라고 <TSR>은 예상했다. 지난해 출하된 소형 카메라 모듈 대수는 27억2344만대로 전년(23억3618만대)과 비교해 16.5%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출하량 대비 매출액 성장세가 낮았던 이유는 경쟁 심화로 평균판매가격(ASP)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카메라 모듈 업체들은 이 같은 ASP 하락을 막기 위해 VCM 독자 개발 및 고화소 모듈과 OIS 제품 비중을 늘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시장에는 30개가 넘는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저마다 일정한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고객사에 따라 공급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삼성전기, 파트론, 파워로직스, 캠시스, MC넥스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가 주요 고객사다. 애플의 경우 샤프, LG이노텍, 코웰(cowell), 폭스콘, 소니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공급받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중화권 카메라 모듈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화웨이는 서니, O-필름, 라이트-온, 폭스콘에서 카메라 모듈을 공급받는다. 샤오미의 경우 서니, 라이트온, O-필름, 프라이맥스 등이 주요 공급사다. 삼성전기도 지난해부터 샤오미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 중이다.
이처럼 공급 생태계가 확연하게 나눠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공급 그룹은 전방 스마트폰 업체들의 실적에 따라 희비가 갈릴 수 밖에 없다. 실제 지난해 삼성전자 갤럭시S5의 판매 부진으로 삼성전기, 파트론, 파워로직스, 캠시스, MC넥스는 모두 모듈 출하량이 감소했다. 카메라 모듈 1위 자리를 지켜오던 삼성전기는 지난해 순위가 8위로 떨어지는 수모를 겪었다. 반면 아이폰 판매 인기에 힘입어 샤프와 LG이노텍, 코웰은 점유율이 증가했다. 소니의 경우 아이폰6에 전면 카메라용 CIS를 새롭게 공급하면서 관련 모듈도 함께 제공해 점유율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니, 라이트-온, 폭스콘의 점유율 증가는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약진하고 있음을 정확하게 말해주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 카메라 모듈 시장에서 1~3위 자리를 모두 꿰차고 앉았다.
삼성 카메라 모듈 공급사 그룹은 이탈 중
지난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 부진으로 모듈 출하량이 축소된 삼성전기, 캠시스 등의 모듈 업체들은 외부 고객사를 확보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 삼성전기의 경우 작년 하반기 샤오미를 신규 고객사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 샤오미 Mi4 스마트폰에 탑재된 1300만화소 카메라 모듈은 삼성전기가 공급한 것이다. 올해 신규로 출시될 샤오미의 전략 제품에도 삼성전기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다. 갤럭시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 모듈을 주로 공급하고 있는 캠시스는 LG전자로의 공급량을 늘리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ASP 확대를 위해 500만 화소 이상급의 카메라 모듈 출하를 늘리고 있다.
파트론은 500만 화소 이하급의 저가 카메라 모듈을 삼성전자에 주로 공급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0년 마이크로샤인, 2013년 한성엘컴텍을 인수하며 카메라 모듈 생산 능력을 월 2000만대까지 늘려놨으나 지난해 공장 가동률은 월 평균 50%를 소폭 웃도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가동률을 높이려면 공급량 혹은 고객수를 늘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가 카메라 모듈 역량을 내재화한 것은 이 회사에 모듈을 공급하는 협력사 입장에선 그리 반가운 소식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2년 말 지분 100%를 소유한 삼성광통신을 소규모 합병 방식으로 흡수합병하며 모듈 역량을 확보했고, 이어 베트남 하노이에 공장을 지어 월 500만대의 모듈 생산 능력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애플 공급사는 생산 능력 확대
애플의 제 1 카메라 모듈 공급사인 샤프는 2013년 상반기 2100만대였던 월 생산 용량을 지난해 3000만대까지 늘렸다. 이 과정에서 고정비가 높은 일본 공장을 폐쇄하고 중국과 베트남 공장으로 생산 전환을 이뤄냈다. 샤프가 이처럼 생산 용량을 확대할 수 있었던 건 가격이야 논외로 치더라도 주문이 꾸준하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샤프는 레노버로 인수된 모토로라, 마이크로소프트(노키아), 메이주 등으로도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고 있다.
전라도 광주, 중국 옌타이에 모듈 공장을 두고 있는 LG이노텍 역시 주문 확대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해 상반기 생산 능력을 월 2500만대로 확대한 바 있다. 애플에 전면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고 있는 코웰은 올해 후면 카메라 모듈 공급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월 생산 능력을 2500만대로 확대해둔 상태다. 이 업체는 LG전자로도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아이폰 전면 카메라 모듈을 공급한 소니 역시 후면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기 위해 애플과 접촉하고 있다. 이 회사의 생산 능력은 월 1000만대다.
대륙의 위상, 중화권 모듈 업계의 약진
지난해 카메라 모듈 업계의 지형도 변화에서 볼 수 있듯 중화권 업체들의 성장세는 놀랍다. 이들은 다양한 중국 스마트폰, 태블릿 업체에 모듈을 공급하면서 해외 기업으로의 계약 성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작년 카메라 모듈 시장 1위에 오른 서니의 주요 고객사는 화웨이, ZTE, 레노버, 쿨패드, 샤오미, 지오니, 틴노 등으로 주력 공급 제품은 500~800만화소 카메라 모듈이다. 2013년 월 생산용량이 1500만대였던 서니는 지난해 월 3100만대로 두 배가 넘는 증설을 단행했다.
라이트-온이 확보하고 있는 고객군은 매우 넓다. 화웨이, 레노버, ZTE, 오포, BBK와 같은 중국 업체는 물론 HTC, 아수스, 마이크로소프트, 소니와 삼성전자에도 모듈을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이 회사의 월 모듈 생산 능력은 3000만대였다.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은 500만 화소 이하의 저가 모듈이다.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폭스콘의 경우 올해부터 800만 화소 이상급의 고화소 제품 비중을 늘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회사는 그간 500만 화소 이하 저가 제품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애플 아이폰 시리즈의 전면 카메라 모듈 공급량이 줄어들면서(이 자리에는 소니가 들어왔다) 사업 구조를 바꾸고자 하는 것이다. 올해 우선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 고화소 모듈을 공급하기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월 2300만대 수준으로 모듈 생산력을 높인 O-필름은 화웨이, 레노버, 샤오미, 쿨패드가 주요 고객사다. 이 회사는 삼성전자는 물론, 소니와 아마존 등으로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500만화소 이상 제품 비중을 늘리고 있다.
한편 업계 전반적으로는 OIS를 지원하는 프리미엄 카메라 모듈의 증가세가 도드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ASP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고부가 제품 비중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 모듈 업계의 생각이다. 지난해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 OIS 기능을 탑재한 제품 비중은 3.7%에 그쳤지만 올해는 8.5%, 내년에는 10.6%의 점유율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TSR>은 예상했다.
<한주엽 기자>powerusr@insightsemicon.com
원본 출처 및 관련 링크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31803
http://insightsemicon.com/news/article.html?no=127788